큰까치수염, 까치수염, 도깨비가지, 애기수영, 붉은토끼풀, 큰뱀무
■ 큰까치수염
앵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원산이다. <큰까치수영>이라고도 불리며 북한에서는 <큰꽃꼬리풀>이라고 부른다,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키는 1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와 잎에 털이 있는 <까치수염>과는 달리 털이 없으며, 아래쪽은 약간 붉은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말: 달성
흰색의 꽃은 6~8월경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8월에 익는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전초를 <진주채><낭미파화>라는 약재로 쓰는데, 이뇨제나 생리불순의 치료제로 쓴다.
■ 까치수염
앵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50~100cm 정도이다. 꽃이 필 때의 모습이 까치의 흰색무늬와 수염을 닮았다고 해서 <까치수염>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이 외에도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여러가지 설이 있으며, <꽃꼬리풀, 개꼬리풀>이라는 이명으로도 불린다. 꽃말: 동심, 친근한 정, 잠든 별
줄기 기부는 자홍색을 띠고 전체에 갈색의 잔털이 밀생하며 가지가 약간 갈라지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며, 선상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에 털이 있다. <큰까치수염>과 달리 잎이 둔두 또는 예두이고 너비 1~2cm 정도이며 줄기와 더불어 털이 갈색이다. 꽃은 6~8월에 총상꽃차례로 백색의 꽃이 피며, 열매는 삭과로 둥근 적갈색으로 익는다.
비슷한 종류로는 <큰까치수염, 갯까치수염, 물까치수염, 홍도까치수염, 섬까치수염, 버들까치수염, 진퍼리까치수염> 등이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기도 하며,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주로 부인과와 호흡기 질환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 도깨비가지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 북미가 원산지이며, 전국의 야산, 들판에 빠르게 번지고 있는 여름 야생화로 생태교란종이다. 줄기와 잎의 인맥에 도깨비방망이처럼 날카로운 가시가 나있기 때문에 <도깨비가지>라는 이름이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꽃말: 믿을 수 없음
키는 50㎝~100㎝ 정도 이며, 줄기의 상층부로 갈수록 가지를 친다. 꽃은 6~10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 옆으로 3~10개 정도의 꽃이 달린다. 열매는 9~10월에 <까마중>을 닮은 동그란 모양으로 달리는데 초록에서 노랑 또는 주황으로 익는다. 열매에는 알칼로이드와 솔라닌 성분의 독이 들어 있어 먹으면 안된다.
■ 애기수영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유럽이 원산지이며 들이나 길가에서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수영>과 비슷하지만 몸체가 작아 <애기수영>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4 ~6월에 꽃이 피고 8~9월에 열매가 익는다. 잎과 줄기는 신맛이 난다. 꽃말: 애정
어린 잎은 식용하며,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소산모(小酸模)>라는 약재로 쓰는데, 항암 효과가 있으며, 폐결핵으로 인한 각혈에 지혈 효과가 있다고 한다.
■ 붉은토끼풀
콩과 토끼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붉은토끼풀꽃, 홍차축초(紅車軸草), 홍삼엽(紅三葉), 금화채(金花菜)>라고도 한다.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전국 각지의 풀밭에서 자라며, 토끼풀과 비슷하지만 꽃차례에 화경이 거의 없고 포가 없으며 원줄기에 퍼진 잔털이 있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다. 꽃말 : 약속, 행운, 평화
잎은 어긋나고 3개로 갈라지는 홀수 깃꼴겹잎이며 잎자루가 아주 길다. 잎의 표면 중앙을 가로질러 八자 또는 V자 모양의 흰 무늬가 있는 점이 특이하다. 꽃은 6~7월에 엷은 홍색 또는 홍자색으로 피며 열매는 9월에 협과가 달려 익는다. 사료용, 퇴비용, 밀원용,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식용, 약용하기도 한다. 주로 호흡기 질환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 큰뱀무
장미과 뱀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뱀무>는 뱀이 자주 다니는 곳에 자라며 잎이 무잎을 닮았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키는 30~100cm 정도이며, 전체에 옆으로 퍼진 털이 있다. 근생엽은 모여나기하며 긴 엽병이 있는 홀수깃꼴겹잎이다. 꽃은 6-7월에 황색의 꽃이 취산꽃차례로 피며, 열매는 8월경에 타원형의 수과가 달려 익는다. 꽃말: 나눔, 만족한 사랑
어린 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으며, 한방에서는 <수양매(水楊梅)>라는 생약명으로 불리며 뿌리와 전초를 약용한다. 주로 마비 증세를 치유하며, 허리와 다리의 통증, 이질, 종기, 인후염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비슷한 종류로는 줄기잎이 갈라지지 않고 정소엽의 끝이 둥근 <뱀무>가 있다.
한평생 / 임보
소주 몇 병 비우고,
영화 몇 편 보고,
꽃구경 몇 번 하다 보니,
어느 덧 석양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