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맞이
앵초과에 속하는 1~2년생 풀. 이른봄 양지바른 따뜻한 들이나 풀밭에 흔히 자라며 봄을 맞이하는 꽃으로 불린다. 키가 10㎝ 정도 되는 아주 작은 식물로, 잎에는 잔털이 있고 잎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꽃말: 봄맞이, 희망, 봄의 속삭임
4~5월에 흰 꽃이 뿌리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은 지름 4~5㎜의 아주 작은 통꽃으로서 5갈래로 나누어져 있고 열매는 삭과로 익는다.
비슷한 종류로는 백두산에서 자라며 잎이 줄기에 돌려나는 <고산봄맞이>, 설악산과 금강산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며 잎이 단풍나무잎처럼 갈라진 <금강봄맞이>,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며 잎이 타원형인 <애기봄맞이> 등이 있다. 이밖에 원예종으로 분홍색 또는 연한 자색 꽃을 피우는 <긴털봄맞이꽃>과 <사르멘토사봄맞이꽃>이 있다.
■ 냉이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며 지금은 전세계에 퍼져있다. 들이나 밭에서 흔하게 자라며, <나생이> 나숭게>라고도 한다. 4~5월에 하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역삼각형 모양이다. 꽃말: 봄색시, 당신께 나의 모든것을 드립니다
<씀바귀, 달래, 고들빼기>와 더불어 대표적인 봄나물이며, 월동한 뿌리는 봄에 먹는 인삼으로 알려져 있다. 이른봄에 뿌리째 캐서 냉이국을 끓이거나 나물로 무쳐 먹는데 독특한 향기가 입맛을 돋구어 주며 비타민 B1과 C가 풍부하다.
한방에서는 냉이의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제채(齊寀)>라는 약재로 쓰는데, 비장을 실하게 하며, 이뇨, 지혈, 해독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비슷한 종류로는 <싸리냉이, 황새냉이, 좁쌀냉이, 논냉이, 나도냉이, 갯갓냉이> 등이 있으며 20여종이 넘는 많은 종류가 있다.
■ 꽃다지
양귀비목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이 다닥다닥(닥지 닥지)핀 모양에서 <꽃다지>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식물 전체에 별처럼 생긴 털이 나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키는 20㎝ 정도이다. 줄기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며 뿌리에서 나온 잎은 무리져서 방석처럼 넓게 퍼지고 어긋난다. 꽃말: 무관심
꽃은 노란색이며 4~6월에 줄기 끝에 모여 피고,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각 4장씩이다. 열매는 길고 편평한 타원형으로 익는다. 꽃다지는 양지 쪽에서 잘 자라며, 이른봄에 줄기와 잎을 따서 물에 끓여 떫은 맛을 없앤 다음 나물이나 국거리로 이용한다.
처음처럼 / 신영복
처음으로 하늘을 만나는 어린 새처럼,
처음으로 땅을 밟고 일어서는 새싹처럼
우리는 하루가 저무는 저녁 무렵에도
아침처럼, 새봄처럼, 처음처럼
언제나 새날을 시작하고 있다.
산다는 것은
수많은 처음을 만들어가는 끊임없는 시작입니다.
'무상 > 나무와 풀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마리, 꽃받이(나도꽃마리), 덩굴꽃마리 (0) | 2019.04.19 |
---|---|
산자고, 깽깽이풀, 산괴불주머니 (0) | 2019.04.17 |
살갈퀴, 새완두, 얼치기완두 (0) | 2019.04.12 |
돌단풍, 매발톱 (0) | 2019.04.10 |
앵초, 얼레지 (0) | 2019.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