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락의 개개비 ■ 개개비 참새목 휘파람새과에 속하는 여름철새로 저수지, 하구, 습지의 갈대밭, 풀밭에 서식한다. 갈대밭에서 ‘개객개객’ 하고 운다고 해서 <개개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암수 몸 빛깔이 같으며, 잠시도 가만 있지 못하고 소란스럽게 지저귀는 갈대밭의 수다쟁이이다. 번식기.. 무상/동물 2019.07.17
흰뺨검둥오리 ■ 흰뺨검둥오리(Spot-billed Duck)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며 크기는 52~62cm 정도이고, <청둥오리>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제일 흔한 겨울철새 중 하나이다. 연해주 및 시베리아에서 번식한 후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이다. 우리나라 전국의 하천, 호수, 강 하구 .. 무상/동물 2019.02.17
노랑부리저어새 ■ 노랑부리저어새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몸길이 86cm 정도의 대형 겨울철새이며 <가리새>라고도 한다. 몽골·아무르 강·우수리 강·중앙아시아의 습지에서 번식을 하고 10월 중순경에 우리나라를 찾아와 겨울을 나며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멸종 위기에 있는 희귀종으로 <천.. 무상/동물 2019.02.05
물닭 ■ 물닭 두루미목 뜸부기과에 속하는 겨울철새이며 물에 살면서 닭과 유사하게 생긴 새이다. 우리나라에는 10월경에 찾아와 겨울을 나며, 일부 무리는 번식도 하는 텃새이기도 하다. 크기는 약 40cm 정도이며 수명은 약 5~10년이다. 우리나라 전역의 갈대나 물풀이 무성한 습지, 저수지, 강 .. 무상/동물 2019.01.31
넓적부리 ■ 넓적부리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흔한 겨울 철새로 몸길이는 50cm 정도이며 부리가 넓적하여 <넓적부리>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전국의 하구, 호수, 늪, 저수지 등 내륙 습지에서 월동한다. 시베리아의 툰드라 지역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에는 10월 초순에 도래하.. 무상/동물 2019.01.29
흰죽지 ▲ 삼락생태공원. 혹한으로 얼어붙은 빙판위에 한 무리의 <물닭>과 <흰죽지> 두 마리가 평화롭게 휴식을 취하고 있다. ■ 흰죽지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잠수성 오리류로 크기는 46cm 정도이며 전국적으로 흔한 겨울철새이다. 날개죽지가 흰색이라서 <흰죽지>라는 이름이 .. 무상/동물 2019.01.27
알락할미새 ■ 알락할미새 참새목 할미새과에 속하며 우리나라에 가장 일찍 찾아오는 여름 철새이다. 주로 남부 지방에서 매우 적은 수가 월동한다. 크기는 21cm정도이며 암수동일하게 뒷머리.가슴.등.꼬리는 검은색이고 뺨.배.날개는 흰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검고 날개에도 검은 부분이 있다. 비슷.. 무상/동물 2019.01.25
삼락의 큰기러기 ■ 큰기러기 기러기목 오리과(큰기러기류)에 속하는 대형 겨울철새로 크기는 85cm 정도이다. 유라시아대륙 북부의 개방된 툰드라 저지대에서 번식하고, 10월 하순부터 한국 전역에 도래하여 3월 하순까지 머물며, 보통 큰 무리를 이루어 겨울을 난다. 주로 철원평야, 강화도, 천수만, 금강, .. 무상/동물 2019.01.23
댕기흰죽지 ■ 댕기흰죽지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겨울철새이다. 머리 뒤쪽에 <댕기> 모양의 깃이 있고, <죽지>가 하얗기 때문에 <댕기흰죽지>라는 이름이 붙었다. '죽지'는 새의 날개가 몸에 붙은 부분을 뜻한다. 크기는 40cm정도이며, 10월 초순에 도래하여 4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우.. 무상/동물 2019.01.21
백양산 까마귀 ■ 까마귀 새와 나무/ 류시화 여기 바람 한 점 없는 산속에 서면 나무들은 움직임 없이 고요한데 어떤 나뭇가지 하나만 흔들린다 그것은 새가 그 위에 날아와 앉았기 때문이다 별일없이 살아가는 뭇사람들 속에서 오직 나만 홀로 흔들리는 것은 당신이 내 안에 날아와 앉았기 때문이다 새.. 무상/동물 2019.01.14